서울시, 가을폭염 불청객 도심주택가‘벌떼’습격주의 당부

최근 3년간 안전조치 통계분석결과, 벌떼 관련 현장활동 7월~9월 가장 많아

양승동 기자

2020-09-01 11:16:08

 

서울특별시청

 

[충청뉴스큐] 시 소방재난본부는 “벌떼 안전조치 통계 분석 결과 7월에서 9월까지가 가장 많았다”며 “올해는 긴 장마로 9월 이후 말벌 떼의 출현이 잦아질 것으로 예상되어 주의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최근 3년간 벌 관련 출동통계 분석 결과, 연중 벌떼 관련 안전조치 출동 건수는 7월~9월 사이에 가장 많았다.

벌떼 관련 안전조치는 지난해 6,421건 중 4,653건으로 72.5%가 7월에서 9월 사이에 발생했다.

최근 3년간 벌떼 관련 안전조치는 폭염기간이 길었던 ‘18년 7,348건으로 가장 많았고 ’17년 6,874건, ’19년 6,421건이었다.

벌떼 관련 안전조치는 계절을 불문하고 연중 발생하고 있어 피해예방을 위한 주의가 요구된다.

시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장마가 지속되었던 올 7~8월은 벌떼 관련 출동건수가 전년 대비 43.6% 감소했으나, 9월부터 벌 쏘임 사고 위험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올 6월부터 소방청에서는 벌 쏘임 사고 예경보 발령 시스템을 전국적으로 시범운영 중이며 지난 8월 13일부터 전국에 ‘벌 쏘임 주의보’가 발령된 상태다.

벌떼가 주로 활동하는 장소는 주택가, 아파트, 학교, 공원 등으로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과 겹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벌떼 관련 안전조치 건수는 주택가가 월등히 높아 주의가 요구된다.

자치구별로 노원구가 가장 많았고 은평구, 강남구, 서초구 등의 순이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말벌은 좀말벌, 큰홑눈말벌, 등무늬말벌, 말벌, 꼬마 장수말벌, 검정말벌, 장수말벌, 털보말벌, 황말벌, 등검은말벌 등 10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집을 짓는 곳은 장수말벌, 땅벌은 시원한 땅속에, 털보말벌, 황말벌, 등검은말벌은 주택가 처마 밑 등에, 좀말벌은 수풀에 집을 짓는다.

말벌의 위험성은 독성으로 평가된다.

털보말벌, 말벌은 꿀벌의 70배의 독을 가지고 있으며 좀말벌, 황말벌은 꿀벌의 120배, 장수말벌은 꿀벌의 500배의 독을 가지고 있다.

말벌은 5월 중순부터 9월 중순까지 산란 및 군집을 형성해 성숙기로 접어들고 10월에는 여왕벌을 육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11월 중순부터 다음해 3월 중순까지는 월동기간이다.

시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말벌은 시각보다 후각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샴푸, 화장품, 향수 등의 사용이 일상화 되어 있어 언제든지 말벌에게 민감한 반응을 유도, 벌 떼 공격에 상시 노출되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벌에 쏘였을 때 응급처치 요령은 말벌에 쏘였을 때 어지럽고 목이 간질간질 한 경우에는 알레르기 증상으로 쇼크 예방을 위해 즉시 119에 신고하고 벌에 쏘여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했다면 의사의 처방을 받아 ‘항히스타민제’를 휴대하도록 한다.

벌침을 제거할 때는 신용카드 등을 세워서 쏘인 부위를 긁어서 제거하고 흐르는 물에 피부를 깨끗이 씻어낸다.

말벌피해 예방을 위해서는 등산 등 야외 활동 시 밝은 색의 옷과 모자를 착용하고 향수, 화장품 사용을 자제한다.

벌집을 발견하면 자극하지 말고 조용히 피하도록 해야 한다.

벌의 천적은 곰, 너구리 등으로 이들 천적의 털색깔이 대부분 검은 색으로 벌들은 본능적으로 이들에 대한 공격성을 드러낸다.

따라서 사람의 검은색 머리털을 벌들은 천적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열우 서울소방재난본부장은 “올 가을철에는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사람과 접촉을 피해 한산한 도심주변 산 등으로 야외활동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야외 활동 시 말벌집을 발견하면 자극하지 말고 조용히 피하고 쏘였을 경우 즉시 119에 신고해줄 것”을 당부했다.
이전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