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큐] 주택도시보증공사가 독점 중인 분양보증시장의 개방 문제가 화두가 되고 있는 가운데, 분양보증 이후 HUG의 사업장 관리가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은혜 의원이 19일 HUG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현재까지 분양보증사고가 발생한 11개 사업장 가운데 절반 이상인 6개 사업장이 사고 직전까지 정상사업장으로 관리돼 온 것으로 확인됐다.
보증금액 기준으로는 전체 사고사업장 보증금액 5,675억원 중 1,637억원에 해당한다.
분양보증은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에 따라 30가구 이상 주택을 분양하는 건설업체는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것으로 건설업체의 부도 등 공사가 계속되기 힘들 때 입주민 분양대금 보호를 위해 HUG가 분양대금을 환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지난 1993년부터 27년간 분양보증을 독점해 오고 있는 HUG의 분양보증 수익은 2017년 2,534억원, 2018년 2,322억원, 2019년 2,674억원, 2020년 3,107억원으로 증가세에 있다.
HUG는 분양보증을 발급한 이후, 분양보증 사업장을 공정부진율과 분양부진율에 따라 ‘정상·관찰·주의·관리·경보’로 구분해 관리하고 사업장 모니터링과 입주금 관리를 달리하고 있다.
사업장 위기단계별 의사결정을 신속하게 하기 위해 관리기준을 마련한 것이다.
그런데 2016년 이후 분양보증 사업장 사고발생 현황을 보면, HUG는 분양보증사고가 발생한 11개 사업장 중 6개 사업장을 사고 시까지 정상사업장으로 관리해 왔다.
올해의 경우에도 8개의 분양보증 사고사업장 가운데, 4곳이 보증사고 당시 정상사업장으로 관리하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군산 수페리체, 광주 송정 숲안애2차, 제주 조천 레이크 샤이어 진천 2차 지역주택조합이 이에 해당한다.
김은혜 의원은 “수익 독점과 분양보증 독점권을 놓지 않으려는 HUG가 정작 보증사업장 리스크 관리라는 공적 책무를 소홀히 하고 있다”며 “시공사의 자금력 상세 파악 등 사업장 리스크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대책을 시급히 강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