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큐] 서울시가 쇠퇴한 동네시장과 그 소비자인 배후 주거지를 함께 재생하는 새로운 도시재생 모델을 본격 시작한다. 마을의 소통광장 역할을 했던 동네시장의 기능을 복원해 마을경제 중심지로 육성, 지역 경제 활성화와 환경 개선을 동시에 이끈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전통시장 연계형 도시재생 전략계획’을 수립하고, 내년 2개소에서 시범사업 추진한다고 밝혔다.
90년대까지 전통시장은 단순히 물건을 사고파는 유통공간을 넘어 지역주민들의 만남·소통·축제의 장이었다. 그러나 시설이 노후화되고 대형마트·인터넷쇼핑 중심으로 유통환경이 변화하면서 전통시장, 특히 주거지 주변의 이른바 동네시장들은 경쟁력을 잃고 지역 내 쇠퇴한 공간으로 변하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를 비롯해 정부 등 공공에서는 그동안 시설·경영 현대화 사업을 다각도로 추진했지만 전통시장의 매출상승 효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전통시장 연계형 도시재생’은 이렇게 시장 내 공간의 물리적 시설개선과 시장 상인에 한정됐던 기존 지원방식에서 탈피해 주거지 내 쇠퇴한 전통시장을 도시재생의 중요한 공간적 요소로 보고 ‘시장 활성화’와 ‘주거지 재생’을 결합해 지역과 시장 간 연계를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시가 수립한 ‘전통시장 연계형 도시재생 전략계획’은 주민공동체 활성화, 시장과 마을 연결, 시장 이미지 개선, 시장-마을 연결가로 환경개선, 네 가지를 골자로 한다.
예컨대, 주민-상인 공동체가 중심이 돼 전통시장 축제 등을 통해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시장 내에 키즈카페나 청년몰 같이 시장과 마을을 연결하는 거점시설을 조성할 수 있다. 낙후된 이미지 개선을 위해 LED조명 교체, 배수로 및 위생환경을 정비하고 마을과 시장에 이르는 가로환경을 개선하고 공중화장실, 무인택배함 등 생활편의시설을 설치할 수도 있다.
서울시는 내년 시범사업에 앞서 후보에 해당하는 희망지 4개소를 선정, 올 연말까지 ‘희망지 사업’을 추진한다. 본격 사업에 앞서 도시재생 필요성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공감대를 확산하고 주민·상인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사전작업에 해당한다. 시는 이달 중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공모하고 4월 말 별도의 평가위원회를 구성해 희망지 대상구역을 최종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희망지 공모 대상지역은 서울시내 전통시장 가운데 주거지역에 소재한 ‘근린상권형 시장’ 170여개소다. 시는 이중 전통시장과 배후 주거지 모두 낙후해 도시재생의 시너지 효과가 크고, 지역주민과 자치구의 추진의지가 높은 지역을 우선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희망지로 선정된 지역에는 사업규모와 지역별 특성을 감안해 4천5백만 원 내외의 사업비와 전문가 파견을 지원받을 수 있다. 주민모임 운영, 도시재생 교육, 지역조사 및 의제 발굴 등의 단계를 거쳐 주민이 직접 재생사업을 발굴·제안하고 → 지속성·효율성·파급력과 지역 주민간 공감대 등을 고려해 각 지역별로 도시재생 활성화계획 기본구상을 연내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12월 중 공동체 활동, 연계사업, 주민의지·역량 등을 종합평가해 시범사업지 2개소를 선정, '20년부터 ‘전통시장 연계형 도시재생’ 시범사업을 본격 시작한다. 시범사업지에는 지역특성, 사업내용 등을 감안해 개소당 100억 원 이내의 사업비가 지원될 예정이다.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서울시가 새롭게 시작하는 전통시장 연계형 도시재생은 기존에 시장에 한정됐던 지원사업에서 벗어나 소비자인 지역주민과 시장 간의 연결을 강화해 시장 활성화와 지역재생을 동시에 이루고자 하는 방안”이라며 “이번 도시재생 사업의 추진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희망지 사업 단계부터 상인과 지역주민 간 공감대 형성을 최대한 이끌어 내고 자치구, 시 부서 간 상호 협조체계를 긴밀히 유지해 성공적인 도시재생 모델로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